본문 바로가기

실의 굵기, 원사의 '번수'와 '데니어' 차이

textile-info-@07@08 2023. 8. 8.

30수 티셔츠, 100수 메리야스가 무슨 의미인지 알고 계십니까? 오늘은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원사의 번수데니어가 어떻게 사용되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30수 티셔츠와 20수 티셔츠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두꺼운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실의 굵기, 원사의 번수의 의미
2.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는?
3. 항중식 번수와 항장식 번수
4. 20수 티셔츠와 30수 티셔츠는 어느 옷이 두꺼울까요?

 

 

1. 실의 굵기, 원사의 번수의 의미

 

'실의 굵기'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원사의 번수'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어떤 옷에 사용된 실의 굵기를 물어불 때는 "이 제품에 사용된 '원사의 번수'가 어떻게 되나요?"라는 식으로 물어봅니다. '30수 순면 티셔츠' 라든지, '100수 순면 메리야스'라든지 하는 말이 바로 ' 실의 굵기가 30수인 순면 원사를 사용하여 만든 티셔츠', ' 실의 굵기가 100수인 순면 원사를 사용하여 만든 메리야스'라는 의미입니다.

 

 

2. 실의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는?

 

실의 굵기를 표현하는 단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크게 '~ 수(數)''~ 데니어(Denier)'가 있습니다.

실의 굵기, 즉 원사의 번수를 이야기 할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20수라든지, 30수라든지, 60수 등 ' ~ 수 '라는 단위를 가장 많이 듣게 됩니다. 그런데 때로는 '수'라는 단위 대신에 '~데니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0데니어', '75 데니어', '100 데니어' 이런 식으로 사용합니다. 실의 굵기 단위를 표시할 때는 수의 경우는 '20'S, 30'S, 100'S', 데니어의 경우는 30D, 75D, 100D'라는 식으로 표시합니다.

 

지금부터 이 '~수'와 '~데니어'의 개념과 어떻게 쓰이고,  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항중식 번수와 항장식 번수

 

실의 굵기를 우리는 보통 '번수(番數)'라고 하고, 번수는 크게 '항중식(恒重式) 번수''항장식(恒長式) 번수'로 나뉘어집니다. 항중식은 일정 무게의 실의 길이를 재서 표기하는 방식이고, 항장식은 일정 길이의 실의 무게를 재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1) 항중식 번수 : ~'S (수) (수가 클수록 실의 굵기는 가늘다)

 

항중식 번수주로 방적사들 (면사, 모사, 방적사인 합성섬유 등)에 사용됩니다. 이 항중식 번수의 경우 '면사'의 경우와 '모사'의 경우에 측정 방법이 조금 달라, 같은 30수라고 하더라도 면사와 모사, 마사의 굵기가 각각 차이가 있다는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면사의 경우 '면번수(綿番數)', 모사의 경우 '(毛番數)', 마사의 경우 '(麻番數)'라고 구별해서 부르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모번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번수표준 무게 1g의 길이가 1m이면 미터식으로 '1수'가 됩니다. 따라서 모사 1g의 길이가 20m이면 20수, 30m이면 30수가 됩니다. 그러므로 같은 1g의 실의 길이가 20m인 20수와 1g의 실의 길이가 30m인 30수의 실의 굵기는 어느 쪽이 더 굵을까요? 당연히 길이가 짧은 20수가 더 굵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참고로 같은 숫자의 경우 면사의 경우가 모사의 경우보다 좀 더 가늘어집니다. 자세한 계산 방법은 다시 소개하도록 하고 오늘은 숫자와 굵기의 개념만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2) 항장식 번수 : ~D (데니어, Denier) (데니어 숫자가 클수로 실의 굵기도 굵어진다)

 

항장식 번의 가장 대표적인 단위가 데니어인데, 주로 합성섬유의 필라멘트사의 굵기에 사용됩니다. 데니어란 9,000m의 실의 무게를 쟀을 때의 g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9,000m의 실의 중량이 30g일 경우 30 데니어이고, 9,000m의 실의 중량이 100g일 경우는 100 데니어가 됩니다. 그러므로 30 데니어와 100 데니어 실 중에서 100데니어 실이 더 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길이의 실이라면 당연히 굵은 실의 중량이 많이 나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니어의 경우는 데니어 숫자가 높을수록 실의 굵기가 굵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20수 티셔츠와 30수 티셔츠는 어느 옷이 두꺼울까요?

 

앞에서 실의 굵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을 드렸으니 이제 20수 티셔츠와 30수 티셔츠 중에서 어느 쪽이 두꺼울지는 짐작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20수 실이 30수 실보다 굵으므로, 굵은 실로 짠 원단이 가는 실로 짠 원단보다 두꺼워지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따라서 20수 티셔츠가 30수 티셔츠보다 두껍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단, 원단의 편직 조직에 따라 원단의 두께감이 달라진다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같은 원사를 사용하더라도 편직 조직에 따라 원단의 두께가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같은 조직으로 편직을 했을 때 20수 원단이 30수 원단보다 두껍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또 주의해야 할 것이 이상의 설명한 내용이 20수 원사이든, 30수 원사든 각각 한 올로 짤 경우를 이야기한 것입니다. 2 올로 짜게 되면 그 만큼 2배로 두꺼워진다는 사실은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만약 20수 1올로 짠 원단과 30수 2올로 짠 원단의 경우는 30수 2올로 짠 원단이 더 두껍습니다. 왜냐하면 30수 2 올이므로 굵기가 15수의 굵기가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이제 실의 굵기, 즉 원사의 번수에 대한 개념을 좀 이해하시겠습니까? 20수 티셔츠와 30수 티셔츠 중에서 어느 옷이 두꺼운 지도 알게 되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항중식번수와 항장식번수인 '~수'와 '~데니어'의 차이와 그 사용방법, 원사 번수와 실의 굵기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