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소재 울과 캐시미어 차이점 비교와 관리법
겨울철 의류의 대표적인 소재 하면 역시 울과 캐시미어입니다. 두 소재 모두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소재이지만, 각기 다른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울과 캐시미어의 차이점, 특징, 용도, 가격, 그리고 관리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울과 캐시미어의 원산지와 생산 방식 1. 울(Wool)의 원산지와 생산 방식 울은 주로 양의 털에서 얻어지는 섬유입니다.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양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뉴질랜드와 호주가 울 생산의 주요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울은 양털의 종류에 따라 메리노 울, 램스울, 셰틀랜드 울 등 다양하게 나뉘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리노 울은 가장 부드러운 품질로 유명하고, 램스울은 어린 양에서 얻은 울로 상대적으로 부..
섬유기초정보
2024. 10. 9.
여름용 접촉 냉감 소재, 특징과 종류
여름 한창 더위가 시작되기 시작하면, 패션 아웃도어업계에서는 다양한 쿨 기능성 소재들을 선보입니다. 흡한속건, UV차단, 항균방취 등 다양한 여름용 기능성 소재 중에서, 오늘은 여름용 패션 의류 소재의 필수 기능인 접촉 냉감 기능 소재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접촉 냉감 소재란? 접촉 냉감 소재의 특징 접촉 냉감 소재 종류 접촉 냉감 소재 단점 (주의할 점) 접촉 냉감 제품 고를 때 체크 포인트 접촉 냉감 소재란? 접촉 냉감 소재란, 마치 더운 여름, 그늘진 곳의 쇠나 콘크리트를 만졌을 때 차갑게 느껴지는 것처럼, 피부에 닿으면 시원하게 느껴지는 효과를 섬유 제품에 응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소재를 말합니다. 보통 수분을 많이 포함하거나 열전도율, 열 확산율이 높다든지, 촉감이 매끈하고 찰랑..
섬유기초정보
2024. 2. 21.
섬유유연제 사용 효과와 올바른 사용법, 유연제 사용의 단점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유연제라고 하면 단지 옷을 부드럽게 하는 것으로만 생각하였지만, 최근에는 향기를 낸다든지, 항균효과, 정전기 방지 등 다양한 효과를 위해 사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섬유유연제의 효과와 올바른 사용법, 섬유유연제 사용의 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섬유유연제란? 2. 섬유유연제의 효과 3. 섬유유연제의 올바른 사용법 4. 섬유유연제 사용의 단점 1. 섬유유연제란? 섬유유연제란 의류를 세탁 후 헹굼을 할 때 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하는 세탁 보조제의 일종으로, 주요 성분은 계면활성제입니다. 섬유유연제는 원단을 부드럽게 해서 피부 촉감이 좋아지고, 향기, 항균, 살균, 주름방지 등의 효과와 정전기 발생을 줄여주고, 옷감의 손상을 ..
섬유기초정보
2023. 12. 27.
보아, 플리스, 인조모피의 차이와 특징, 장단점 비교
추운 겨울에는 보아, 플리스, 인조모피(페이크 퍼, Fake Fur)와 같은 따뜻하고 포근한 털이 있는 소재의 옷을 즐겨 입죠. 그런데 여러분들은 플리스, 보아, 인조모피 소재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있으신가요? 오늘은 보아, 플리스, 인조모피(페이크 퍼) 소재의 차이와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아(BOA) 보아는 겨울철에 플리스, 인조모피와 함께 인기 있는 소재로, 마치 양털과 같이 뽀글뽀글한 소재를 말합니다. 보아는 털이 길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를 방출하지 않고 막아줄 수가 있습니다. 안쪽에 보아를 사용하면 따뜻한 공기는 보아 내부에 보존되고, 체온을 낮추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보아는 아주 가볍고 따뜻하여 보통 겨울 아우터용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
섬유기초정보
2023.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