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미어 소재의 등급, 캐시미어 중에도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
고급소재로 유명한 캐시미어는 누구나 한 벌쯤 갖고 싶은 아이템입니다. 부드러운 터치감, 피부에 닿는 촉감, 고급스러운 광택, 특히 가볍고 따뜻함은 겨울소재로는 최고의 소재입니다. 그런데 이 캐시미어에도 몇 가지 종류와 등급이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캐시미어 중에서도 비싸고 싼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캐시미어는 어떤 소재, 특징
2. 캐시미어가 고급소재인 이유
3. 캐시미어 소재의 종류와 등급
4. 캐시미어 제품 가격이 차이가 나는 이유
1. 캐시미어 (Cashmere)는 어떤 소재, 특징
울(Wool)은 일반 양모로 생산된 소재이지만, 캐시미어(Cashmere)는 인도 캐시미어 염소나 티베트 산양의 털실을 사용한 소재로 원료인 털 자체부터 차이가 있습니다. 캐시미어 산양은 현재 중국, 몽골, 티베트 등지에서 사육되고 있는데, 몽골지역의 캐시미어가 가장 품질이 우수한 편입니다.
캐시미어는 캐시미어 산양 한 마리에서 약 100~120g 정도밖에 채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희소가치 때문에도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캐시미어는 아주 부드럽고 피부 감촉이 좋고 가볍고 따뜻하기 때문에 일반 울 보다도 월등히 품질이 우수하고 고급소재로 겨울코트, 재킷, 가디건, 스웨트, 머플러 등 각종 니트 제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캐시미어의 특성은 촉감이 매우 부드럽고, 깃털처럼 가벼운 특성과 보온성이 우수하여 아주 따뜻한 소재입니다. 곱슬거림의 특성이 있는 양모와 달리 캐시미어는 직선의 부드럽고 가는 털로 은은한 광택을 가지며 옷으로 만들었을 때 형태 안정성도 아주 우수합니다.
2. 캐시미어가 고급소재인 이유
캐시미어 산양은 서식하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산양의 개체 수 자체도 많지 않습니다. 또한 실제 캐시미어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의 안쪽 부드러운 털도 매년 한 번, 털갈이하는 시기 밖에 채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 마리에서 채취되는 양도 극히 소량으로 희소가치 때문에 더욱 고급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캐시미어의 품질은 실제로 만져보고, 입어보며 사용하며 느껴보지 않으면 제대로 알 수가 없을 정도로 촉감과 따뜻함, 가벼움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보다도 고급소재의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캐시미어 소재의 종류와 등급
캐시미어라고 해서 종류와 품질 등 등급이 모두가 같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캐시미어에도 종류와 등급이 있습니다.
1) 산지에 따른 종류
캐시미어의 산지는 중국, 몽골, 네팔, 이란, 아프리카 수단, 러시아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고원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채취되는 곳은 중국의 몽골자치구(내몽고)입니다. 이곳 '내몽고산 캐시미어'가 세계적으로도 고급품질이라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내몽고산 캐시미어와 다른 지역의 캐시미어의 차이는 캐시미어 섬유의 길이와 굵기의 차이 때문입니다. 캐시미어 섬유는 섬유가 가늘고 긴 것이 고품질로 인정하는데, 내몽고산 캐시미어는 다른 지역 캐시미어에 비해 가늘고 긴 특징이 있습니다.
2) 색상에 따른 종류
캐시미어는 색상에 따라 주로 '화이트 캐시미어', '그레이 캐시미어', '브라운 캐시미어'의 3가지 종류로 나누어집니다.
이 세 가지 색상 중에서 화이트 캐시미어는 새하얀 원모 만을 골라모은 것이기 때문에 가장 품질이 우수한 고급입니다. 화이트 캐시미어는 어떤 색으로도 염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다양한 제품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캐시미어 특유의 느낌과 색을 표현하기 위해 화이트 캐시미어 만이 아닌 그레이 캐시미어나 브라운 캐시미어를 섞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3) 캐시미어 원사나 원단 제조업체의 생산 공정 기술에 따른 품질 차이
똑같은 캐시미어 염소의 털을 가공한 캐시미어 100% 원사라고 해도 가공 기술에 따라 원단의 짜임과 촉감, 품질이 천차만별입니다. 캐시미어 섬유를 원사로 만들 때 공정이 얼마나 고도화되어 있느냐, 그리고 염색 과정에서의 약제 사용 등 공정 단계마다 기술의 차이가 원사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또 원사를 수입해서 제품을 만드는 제조사나 브랜드의 디자인 퀄리티에 따라 나오는 완제품의 완성도가 달라집니다.
4) 캐시미어의 등급
캐시미어의 등급은 일반적으로 1등급에서 9등급까지 나누어져 있습니다. 등급의 기준은 '섬유의 굵기', '섬유의 길이', '불순물의 혼합율' 등으로 구분합니다.
좋은 캐시미어의 기준은 섬유가 가늘고, 또 섬유 길이가 길고, 불순물이 적게 섞인 것입니다.
참고로 캐시미어 섬유의 굵기를 다른 섬유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캐시미어 : 약 14 ~ 16 마이크론
고급 양모 : 약 19 ~ 20 마이크론
모헤어 : 약 30 ~ 50 마이크론
머리카락 : 약 40 ~ 50 마이크론
※ 1 마이크론 = 1/1000mm
◈ 캐시미어의 등급별 섬유 굵기와 길이
등급 | 섬유 굵기 | 섬유 길이 | 불순물 함유율 |
1등급 | 14 마이크론 전후 | 34mm ~ 38mm | 0.1% |
2등급 | 14 ~ 15 마이크론 | 30mm ~ 34mm | 0.2% |
3등급 | 16 마이크론 전후 | 28mm ~ 30mm | 0.3% 이하 |
4등급 | 16 마이크론 이상 | 30mm 이하 | 0.5% 이하 |
~~ | ~~ | ~~ | ~~ |
8 ~ 9등급 | 17 ~18 마이크론 | 24mm 이하 | 1.0% 이상 |
4. 캐시미어 제품 가격이 차이가 나는 이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똑같이 캐시미어라고 해도 캐시미어의 산지와 색상, 그리고 생산업체의 기술, 원료가 되는 섬유의 등급(섬유의 굵기, 섬유길이) 등에 캐시미어의 품질의 차이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에 따라 캐시미어 가격에도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섬유기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시미어 니트 세탁방법, 수축방지 건조방법, 캐시미어 소재 특성과 관리 (0) | 2023.09.08 |
---|---|
옷이 줄어들지 않는 세탁방법, 줄어드는 원인과 줄어든 옷 복원방법 (0) | 2023.09.06 |
캐시미어 소재의 특징, 장단점, 캐시미어가 비싼 이유 (2) | 2023.09.04 |
울과 아크릴 비교, 울과 아크릴의 특징 (0) | 2023.09.03 |
겨울소재, 울과 아크릴의 장단점,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3.09.01 |
댓글